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부모 ‘한국식 교육’에 자녀들 우울증·불안감 호소

“가족행사 때 사촌들끼리 매번 비교를 당해야 했다. 학교에서 공부만 하다 보니 스트레스가 심했고 왕따가 된 기분이었다.”   한인 2세인 존 김(44) 임상심리상담가의 청소년기 기억은 공부  뿐이다.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성장한 그는 부모의 공부 압박이 힘들었다고 밝혔다. 특히 김 상담가는 공부만 강조한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김씨는 “한국 최고인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아버지 압박으로 학창시절 모든 과목에서 최고여야 했다. 엄마는 ‘의사가 되지 못하면 결혼도 못 한다’고 할 정도였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한인사회에 만연한 성공지상주의와 자녀를 향한 과도한 학업성취 압박이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청소년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상명하복식 집단주의’가 몸에 밴 이민 1세대 한인 부모는 미국에서 태어난 자녀의 개성과 자율성을 외면할 때가 많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 ‘수평적 관계와 개인의 의사표현’을 중시하는 서구식 교육을 받고 자란 2세대 자녀는 우울증·불안장애 등을 호소한다.〈관계기사 4면〉   한인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은 ‘한국식 교육(Korean Style Education)’으로 표현된다. 한국식 교육에서 자녀 양육의 최우선 목표는 높은 학업성취도 달성이다. 자녀에게 항상 공부를 강조한다. 자녀가 명문 대학에 입학해 경제적·사회적 성공을 달성하길 바란다. 이 과정에서 자녀의 개성과 자율성은 무시될 때가 많고, 부모-자녀 간 갈등의 골이 커진다.   토런스 사우스고교 9학년인 이안 최군은 “한인 부모는 자녀에게 엄청난 기대를 품고 공부를 잘해야 한다고 ‘컨트롤’한다. 우리가 경제적으로 성공해 더 나은 삶을 살기 바라기 때문”이라면서 “공부에 관심있는 친구는 이런 부모의 지지가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예술, 체육 등 다른 것에 관심있는 친구는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힘들어한다”고 전했다.   존 김 임상심리상담가(LA)는 "한인 부모의 획일화된 한국식 교육이 자녀의 우울증, 불안 및 분노조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식 교육법은 미국에서 태어난 2세에게 다양성을 허용하지 않고, 그 결과 정서적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워싱턴대학 김은정 교수(박사)의 ‘한인 청소년 우울증과 부모교육(Korean American Adolescent Depression and Parenting)' 논문에 따르면 한인 청소년의 39%는 어머니의 공감능력 부족과 아버지의 강압적 모습으로 우울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세 이하 저소득층에게 정신건강 상담을 제공하는 한인타운청소년회관(KYCC)에 따르면 지난해 상담자 132명 중 50명(38%)이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전체 상담자 중 우울증 비율은 2021년 30%, 2022년 39%로 증가 추세다.   KYCC, 한인가정상담소(KFAM), 아태가정상담소(Pacific Clinics APFC) 따르면 한인 1세대 부모와 2세대 자녀는 ▶높은 학업성취 압박과 성공지상주의 ▶성장 배경이 다른 문화차이 ▶영어로 인한 언어장벽 ▶자존감과 독립성 인정여부 ▶행복 및 성정체성(LGBTQ)을 바라보는 가치관 차이 등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이들 단체는 한국식 교육법의 장점은 유지하되, 한인 부모가 자녀를 동등한 인격체로 대해야 정신건강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KYCC 그레이스 박 클리닉서비스 매니저는 “부모는 자녀가 클수록 독립하는 과정을 겪는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10대 자녀가 제한된 범위에서 자유를 누리도록 풀어주고, 부모가 잘못했을 때는 자녀에게 사과할 줄 알아야 관계회복이 빠르다”고 말했다.   임상심리학자인 오미숙 KAFM 정신건강 프로그램 디렉터는 “한인 부모가 권위적인 모습으로 ‘안 돼!’ 등 통제만 하면 자녀는 좌절감을 느낀다. 자녀가 대화 자체를 거부하고 우울증, 게임과 약물 중독 등 정신건강 문제로 빠질 수 있다”며 “자녀의 호기심과 관심사에 공감하고 소통하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태가정상담소 이희영 가정상담전문가는 “한인 부모는 자녀에게 수직적 상하관계를 보이면 미국에서 수평적 관계 교육을 받은 자녀는 ‘엄마 아빠가 나를 공정하게 대하지 않는다’며 반발심을 키운다”며 “부모는 자녀와 동등하다는 자세로 서로 눈을 마주보고 ‘오늘은 어땠는지, 친구들과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여러 경험에서 무엇을 느꼈는지’ 등 하루 10분이라도 대화하는 자세가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KYCC, KFAM, APFC단체는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부모교육, 어머니교실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관련기사 자녀들 “공부 압박 스트레스” vs 부모들 “말대꾸 등 적응 안돼”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힐링캘리포니아 프로젝트 부모자녀 유대관계 자녀 정신건강 한인 부모 한인사회 미국 한인 미주 한인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LA 로스앤젤레스

2024-04-07

[건강 칼럼] 코로나…자녀 정신건강 챙겨야

코로나19로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과 청소년 정신건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코로나19가 발병한 2020년부터 등교중단 및 원격수업 시작으로 대부분 학교에 가지 못하고 집에서 수업을 받으면서 생활패턴이 깨지며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 외출자제 방침에 따라 활동량이 줄고 친구들도 만나지 못하게 되면서 무기력감, 고립감, 소외감, 상실감 등을 느끼는 아이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이런 상황을 반복해야 하는 지경이다.   자녀의 정신건강을 위해 부모와 가족이 해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아이가 규칙적인 생활, 건강한 식사, 적절한 활동과 운동, 충분한 수면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친구와의 만남을 무조건 못하게 하기보다는 때로는 허락하는 것도 필요하다. 야외에서 만나게 하거나 마스크를 쓰고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주의를 준 다음, 허락하면 아이도 답답함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만남 자체가 걱정된다면 친구들을 온라인에서 만나도록 제안하는 것도 방법이다. 공부만 하라고 하고, 게임은 무조건 하지 못하게 하기보다는 놀 수 있게도 해줘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불안, 우울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이도, 청소년도 모두 느끼는 것이다. 이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을 해소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아이에게 하고 싶은 말이 많아도 잔소리보다는 이를 참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무엇보다 불안과 우울 같은 부모의 감정이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이는 어른보다 더 극단적으로 받아들이고 더 심각하게 느낄 수도 있다. 때로는 아이 앞에서는 의연하게 보일 필요가 있다. 스트레스는 받지 않는지, 정서적으로 괜찮은지, 아이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감정적, 정서적, 정신적 건강도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이와 함께 “~하면 안 돼”, “~하는 건 문제야”라고 나무라기보다는 문제 예방과 해결에 집중하고 아이가 이를 따라오도록 이끌어주는 게 중요하다. 반대로 코로나19 장기화로 부모가 자녀에게 신경을 덜 쓰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 상황에 익숙해지고 적응하다 보니 처음엔 당장 큰일 날 것 같은 일도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가족간 서로 소홀해지지 않게 규칙을 정하고 자녀가 이를 따르도록 부모가 일관성 있게 지도하는 게 바람직하다.   ▶문의: (213)235-1210  문상웅 / 이웃케어클리닉 심리상담전문가건강 칼럼 정신건강 코로나 자녀 정신건강 청소년 정신건강 스트레스 불안

2022-0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